반응형 여러가지 정보108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Clavicle AP Projec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중 Clavicle AP 촬영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촬영목적 봉우리빗장관절(acromioclavicular joint)과 복장빗장관절(sternoclavicular joint)이 포함된 빗장뼈(clavicle)를 관찰할 수 있다. 2. 촬영방법 환자는 선 자세(erect position) 또는 바로 누운 자세(supine position)로 하고, 턱을 들어 앞쪽을 똑바로 응시하게 한다. 선 자세 또는 바로 누운 자세로 전후방향(AP) 촬영의 경우에는 몸의 회전없이 어깨 뒷면이 상수용체(IR) 또는 촬영대 위에 밀착되도록 한다. 중심X선이 머리쪽으로 향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수용체 중앙에 밧장뼈의 중심을 맞춘다. 빗장뼈는 목아래패임(jugular no.. 2022. 1. 19.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Shoulder AP projac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중 Shoulder AP projection - internal rotation 촬영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골절(fracture)이나 탈구(dislocation)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팔을 회전시키지 말아야 한다. 1. 촬영목적 위팔뼈머리(humeral head)와 접시오목(glenoid cavity)의 관계가 포함된 몸쪽 위팔뼈(proximal humerus)의 측면상 , 빗장뼈(clavicle)의 가쪽 2/3 , 어깨뼈(scapula) 위부분 , 근육의 칼슘 침착여부 , 그리고 어깨의 힘줄(tendons) 또는 윤활주머니(bursa)의 구조를 잘 관찰할 수 있다. 2. 촬영방법 환자는 선 자세(erect position)나 바로 누운 자세(supine p.. 2021. 12. 22. 방사선 일반촬영 Humerus AP projec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중 Humerus AP 포지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촬영목적 위팔뼈(humerus) 전체의 정면상을 잘 관찰할 수 있다. 2. 촬영방법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나 선 자세로 한다. 상수용체(IR) 위에 위팔(arm)을 놓고, 상수용체 양끝에서 어깨관절(shoulfer joint)과 팔꿉관절이 같은 거리에 있도록 상수용체의 위치를 조정한다. 어깨관절과 위팔뼈 몸쪽부(proximal part)를 상수용체에 밀착시키기 위해 몸을 촬영쪽으로 돌린다. 팔꿉관절과 어깨관절부를 모두 포함시키기 위해 위팔뼈를 상수용체에 대각선으로 놓을 필요가 없다면, 상수용체의 장축을 따라 위팔뼈가 일직선이 되도록 조절한다. 손과 아래팔(forearm)은 환자가 통증이 있을 경우에 참.. 2021. 12. 21.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Forearm AP projec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사선 일반촬영 기법 중 Forearm AP 포지션 촬영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촬영목적 노뼈(radius)와 자뼈(ulna) 전체, 손목뼈(carpals)의 몸쪽줄(proximal row), 위팔뼈(humerus)의 먼쪽 끝부분과 팔꿉관절을 관찰할 수 있다. 2. 촬영방법 손바닥을 위로 하고, 손과 팔을 완전히 펴서 촬영대 끝에 앉힌다. 팔(upper limb) 전체가 같은 평면에 오도록 어깨를 낮추어 2등분하여 촬영할 부분의 상수용체(IR) 장축에 아래팔을 일치시킨다. 손목관절(wrist joint) , 팔꿉관절 , 어깨관절(shoulder joint) 전체가 바른 정면 자세가 되도록 환자의 몸을 가쪽으로 기울인다. 가쪽 위관절융기와 안쪽 위관융기가 상수용체에서 같은 거.. 2021. 12. 20. 이전 1 ··· 23 24 25 26 27 다음 반응형